중앙일보 보도. 누가 어떤 근거로 뽑았는지 전혀 알 수 없으나 이름은 나왔으니. 학교 가나다 순으로 맨 끝에.
새 창으로
선택한 기호
HY-Five
한양대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고등학생들을 모아놓은 자리.
강의왕
건축의 날 포럼
4차 산업혁명이라는 단어가 잘못 쓰이는 거라는 생각은 하고 있었지만 일단 초청하니 가는 걸로.
K-MOOC
국문과 정민 선생님과 함께 이야기를 하라고...
KTV
용산공원 라운드테이블의 이야기가 KTV로 녹화방송. 공원 단정에 앞서 미군기지이전적지임을 주목하자는 이야기. http://www.ktv.go.kr/content/view?content_id=537047
용산공원
용산미군기지이전적지 이용에 대한 라운드테이블. 도시내 빈 땅 > 도시내 큰 공원 > 센트럴파크 > 빈 땅에 자연공원이라는 논리를 경계합니다. 이 땅은 다음 세대가 처분하게 남겨두기를 기대. http://www.lak.co.kr/news/boardview...
한수진이 만난 사람
오랜 만의 방송. SBS 라디오 4월 9일 오전 11시. 집 짓는 주제로 이런저런 이야기.
올해의 책
동아일보사에서 42명에게 물은 올해의 책 12권. 42명의 한 명이기는 한데 한 권도 못 맞췄으니 책의 선구안이 나쁜 건지, 취향이 다른 건지. 그나마 읽은 건 한 권, 읽으려고 한 건 두 권. http://news.donga.com/3/all/2016121...
도서관
인문학자들 사이에 끼어 한 꼭지 거들어 쓴 책. 원고의 도서관은 강의에서 항상 들고 나오는 예일대학의 Beinecke Library.
지인
담류헌이 <z:in> 공간연구소에 보도. "크리에이티브가 쉼쉬는 공간에 대한 긴: 생각"이 문법적으로 무슨 문장인지 동의하기는 어려우나... http://m.z-in.com/mobile/space/lab/view.jsp?board_seq=30493
좌담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개관30주년 기록집. 건물 설계한 김태수선생님과의 인터뷰가 실렸습니다. 중요한 건물의 건립에 관한 희귀한 자료 모음집.
대상
느티나무가 가을을 보여주는 파주출판도시 어린이집. 근로복지공단 후원으로 지은 건물인데, 근로복지공단 공모전 환경디자인부문 대상으로 선정. 고용노동부장관상.
OBS
담류헌이 경인방송(OBS)에 등장. http://vod.obs.co.kr/program/kyeonginboom/kyeonginboom-43.mp4
숨은 글자 찾기
경향신문 창간 70주년 기념호. 몇 가지 질문에 답하라고 해서 써보냈는데 화끈한 편집 디자인에서 삼각김밥 그늘에 묻혀 보일듯 말듯.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10052348005&code=210100 .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개관 30주년 기념, 건축가 김태수 대담. 인터뷰를 당하는 경우는 많았지만 인터뷰어로서는 처음인 듯. 지금 가시면 전시장의 동영상으로 나옵니다. 맨 마지막 질문은 중앙 로톤다의 백남준 '다다익선'에 대한 입장...
전원 속의 담류헌
담류헌이 <전원 속의 내 집>에 등장. 건축주의 요구사항 중 하나가 "저희도 <전원 속의 내 집>에 나오고 싶어요."였으므로 임무 완수.
YES24
<세모난 집 짓기>를 낸 걸 빌미로 인터뷰. 책에 관한 내용도 있지만 나머지 이런저런 이야기들을 나눴습니다. http://ch.yes24.com/Article/View/31406
내 인생의 책
경향신문에 몇 주 연재했던 글이 책으로. 물론 다른 이들의 글과 함께. 그래도 기사에 인용이 되었으니 뉴스로 광고. 책 제목은 <책과 연애하는 41가지 방법>. 이유는 저자가 41명.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v/f57da4a8d1f54d79b2bf830981de480a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7182135015&code=100100
로그인 유지